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통계/정책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8년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 발표

작성자 : itsa
작성일 : 2018-01-24 11:01:26
조회수 : 1,375

지능형 전자정부, 사람을 중심에 놓다

 

2018년도 전자정부는 “지능형 전자정부” 도약의 원년으로, 성숙된 지능정보기술을 바탕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전자정부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8년 주목해야 할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을 발표했다.

10대 유망기술은 “마음을 살피는 맞춤형 행정”, “다함께 누리는 체감형 서비스”, “신뢰를 만드는 안전한 인프라(기반)”를 구현하고, 기술과 서비스 간 융합과 상호작용을 통해 국민을 우선하는 ‘사람 중심’의 전자정부를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대화형 인공지능 플랫폼’, ‘온디맨드 빅데이터’, ‘공공 멀티 드론’ 등을 활용하여 유능하고 똑똑한 정부로 거듭난다.

각종 민원행정서비스에 인공지능 기반 대화로봇(챗봇) 서비스가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연어처리 기술 및 음성인식 기술의 발달로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비서형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또한 주요 정책결정 시 해당분야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 수요를 미리 파악한 선제적인 정책수립이 가능해지며, 군사용, 산림용, 재난재해용, 물류 및 우편, 연예오락(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개발된 드론의 기능이 융합되어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다음으로 지능형 전자정부는 지능형도시 사물인터넷, 혼합현실(MR), 비접촉 생체인식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전 국민이 차별 없이 누리는 체감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만물의 연결로 자율주행, 스마트그리드 등 지능형도시 구현이 가속화되어 전국 방방곡곡 전자정부서비스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이 어려운 국민, 소외계층에게 관광, 교육, 스포츠, 연예오락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실감이 극대화된 경험을 주고, 또한 본인인증 수단이 지문인식, 홍채인식, 걸음걸이 등 생체인식, 비접촉 생체인식까지 확장됨으로써 나에게 가장 적합하고 편리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초고속 5G, ‘블록체인 네트워크’, ‘클라우드 활용’이 점차 확대되면서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자정부 생태계 조성과 미래형 신산업 발굴·육성에도 기여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전자문서를 유통하여, 문서 위·변조를 방지하고 국민에게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전자정부가 지능정보기술의 적극 활용을 통해 공공시장을 창출하여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할 것”이라며, “전자정부 기술경향이 올해 전자정부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국민들께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 : 전자정부정책과 권명철(02-2100-3908)

 

 

 

<2018년 전자정부 10대 기술 트렌드>

*자료 행정안전부

2018년 전자정부 10대 기술 트렌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주요 수출기관 지원사업] [TTA] SW 국제화 및 현지화 지원사업 이용기업 모집 안내 itsa 2023-01-10
[분과활동] 「2022년 SW해외진출협의체」국내SW기업 일본진출 사례공유 세미나 개최(11.23) itsa 2022-11-07
[통계/정책] [자료] 2018년도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설명회_180122 itsa 2018-01-24
- [통계/정책]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8년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 발표 itsa 2018-01-24
[통계/정책] ICT 국제개발협력 연구 시리즈 2. 미얀마 ICT 환경 분석 itsa 2017-06-02
783 [주요 수출기관 지원사업] [TTA] '22년도 4/4분기 SW국제화/현지화 서비스 이용기업 모집 안내 itsa 2022-11-04
782 [분과활동] 「2021 SW해외진출협의체」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개최 결과 itsa 2022-10-27
781 [분과활동] 「2021 SW해외진출협의체」SW수출 사례공유 세미나 개최 결과 itsa 2022-10-27
780 [분과활동] 「2020 SW해외진출협의체」SW 대중소 해외 동반진출 온라인 세미나 개최 결과 itsa 2022-10-27
779 [분과활동] 「2022 SW해외진출협의체」일본 현지 바이어 발굴 행사 개최 결과 itsa 2022-10-20
778 [분과활동] 2022년 SW해외진출 이슈리포트 발간(일본 인공지능 및 핀테크 산업) itsa 2022-10-17
777 [행사정보] [NIPA] 2022년 K-SW 글로벌 역량강화 현지화&수출마케팅 교육 세미나 itsa 2022-09-13
776 [주요 수출기관 지원사업] [TTA] SW 국제화 및 현지화 지원사업 이용기업 모집안내 itsa 2022-06-15
775 [행사정보] 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12.1) itsa 2021-11-10
774 [분과활동] 2021 SW해외진출 이슈리포트 및 정책보고서 발간 itsa 2021-11-02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