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공지사항

[데스크가 간다] "정부부터 제값 줘야 大·중견기업 윈윈… IT 新생태계 필요"

작성자 : itsa
작성일 : 2019-10-30 10:03:59
조회수 : 481

 

데스크가 간다  
박진국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장·아이티센 대표
 

데이터·인공지능·클라우드가 촉발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렸지만 국내 IT서비스 기업들은 오히려 생존 위기를 호소하고 있다. IT와 소프트웨어, 사람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해주지 않는 시장 분위기가 국내 IT기업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정부부터 IT를 예산절감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바꾸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 참여제한 이후 공공사업을 주도해 온 중견 IT서비스 기업들이 체감하는 위기는 훨씬 심각하다.  

박진국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장은 "새로운 시대와 시장에 맞는 IT서비스 산업의 신생태계가 필요하다"면서 "기업이 미래를 보고 투자할 시장환경을 만들고, 대·중견·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협업 생태계를 새로 열지 않으면 혁신도 성장도 먼 얘기"라고 강조했다.  

박진국 회장은 IT서비스 대기업 LG CNS에서 31년간 근무하다 2017년 중견기업 아이티센으로 자리를 옮겨 , 지난해 3월부터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IT서비스 기업들로 구성된 IT서비스산업협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산업 생태계 개선을 위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 

대담 = 안경애 과학바이오팀장  

데이터·인공지능·클라우드가 촉발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렸지만 국내 IT서비스 기업들은 오히려 생존 위기를 호소하고 있다. IT와 소프트웨어, 사람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해주지 않는 시장 분위기가 국내 IT기업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정부부터 IT를 예산절감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바꾸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 참여제한 이후 공공사업을 주도해 온 중견 IT서비스 기업들이 체감하는 위기는 훨씬 심각하다.  

박진국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장은 "새로운 시대와 시장에 맞는 IT서비스 산업의 신생태계가 필요하다"면서 "기업이 미래를 보고 투자할 시장환경을 만들고, 대·중견·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협업 생태계를 새로 열지 않으면 혁신도 성장도 먼 얘기"라고 강조했다.  

박진국 회장은 IT서비스 대기업 LG CNS에서 31년간 근무하다 2017년 중견기업 아이티센으로 자리를 옮겨 , 지난해 3월부터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IT서비스 기업들로 구성된 IT서비스산업협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산업 생태계 개선을 위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박 회장은 "SW산업진흥법 개정으로 대기업이 떠난 공공시장에서 덩치를 키워온 중견기업들이 오히려 하나같이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했다"면서 "공공시장이 척박하고 정부 지원이 전무한 상황에서 전문성 없이 과당경쟁을 벌인 결과"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모 중견기업은 사실상 회사 정리단계에 들어갔고, 몇개 기업은 공공사업을 중단했다. 적자에 허덕이는 기업도 여럿이다. IT서비스산업협회가 국내 200개 IT서비스 기업의 작년도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 2000억 원 이상 8000억 원 미만 기업이 11개나 감소했다. 또한 지난해 매출액 800억 원 미만 600억 원 이상 중견기업의 영업이익과 손실을 모두 합친 액수는 마이너스였다. 치열하게 사업활동을 하고도 기업들이 하나같이 손실을 입었다면 시장이 비정상이란 결론이 나온다.  

박 회장은 "중견기업에 와 보니 그룹 내부 사업기회가 있고 투자여력도 많은 대기업에 비해 상황이 훨씬 어렵더라"면서 "중견기업으로 올라서는 순간 연구개발 자금부터 정부 지원이 끊기다시피 하고 밖에서 벌어야 투자를 하는데 수익성이 나쁘다 보니 미래 투자도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시장의 구조를 꿰뚫고 있는 박 회장은 아이티센 대표 취임 후 중견기업은 특화와 전문화만이 살 길이라는 판단 하에 과감한 사업 정비부터 단행했다. 사업성이 떨어지는 사업은 참여하지 않고 경쟁력이 입증된 영역에 집중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매출감소라는 특단의 결과를 감수하며 선택과 집중에 박차를 가했다. 덕분에 2016년 적자를 기록했던 회사는 2017년, 2018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 성적도 좋다.

박 회장은 "재정, 세정, 교육, 행정 분야에 집중할 것"이라면서 "잘 할 수 있는 것을 해야 고객도 만족하고 우리도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회장은 "나오는 사업만 수행하는 게 아니라 컨설팅 인력을 확충하고 고객에 선제안을 하는 등 선순환 사이클을 만드는 작업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공시장의 구조에 대해 박 회장은 할 말이 많아 보였다.  

세계 각국이 디지털 혁신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리 정부의 행보는 답답한 상황이다. 대통령이 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을 얘기해도 이를 정부 어젠다로 체계화해 추진할 IT 전문가가 청와대 내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유니콘 기업을 키우고 일자리를 만들자고 하면서 정부 IT 프로젝트는 적자 사업 투성이다. 사람과 기술에 대한 적절한 보상보다 예산절감이 지상목표인 정부 구조하에서 기업들은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이처럼 열악한 시장구도는 젊은 인재들이 IT분야를 외면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박 회장은 "한마디로 시장이 너무 열악하다"면서 "공공시장에서 단가기준 등 거래질서와 제도가 잘 갖춰져야 금융·기업 등 다른 시장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시장의 단가 기준이 기업간 거래에도 적용되는 만큼 첫 단추를 제대로 끼워야 한다는 것이다.  

IT서비스 업계는 유영민 전 과기정통부 장관이 취임 직후부터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마련한 SW산업진흥법 개정이 가장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3년 전부터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대 만든 개정안은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 박 회장은 "12월에 통과돼도 내년 7월에야 시행된다"면서 "개정안 내용은 100% 만족할 수준이 아니지만 그거라도 빨리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회장은 "협회장으로서 계속 얘기하는 것은 업계의 과당경쟁을 막기 위해 가격평가 기준을 개선하자는 것"이라면서 "기획재정부가 해줘야 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공공입찰은 보통 기술과 가격을 90대 10 비중으로 평가하는데, 기업들이 가격으로 사업을 따내기 위해 최저 기준인 예산 대비 80%까지 가격을 제안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저가 투찰의 유혹을 없애기 위해 가격제안 하한선을 80%에 95%로 높이자는 게 박 회장의 의견이다.  

그는 "공공사업 예산이 박하다 보니 최근 3년 평균 낙찰금액이 약 94%"라면서 "80%를 평균 낙찰금액 수준으로 높여서 완전히 기술로 사업자가 정해지도록 함으로써 사업부실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SW·장비 등 솔루션에 대한 대가는 지급하면서도 IT서비스 기업에는 시스템통합 비용을 주지 않는 것도 문제다. 박 회장은 "시스템통합 사업자에 일을 맡기면서 공공사업에 통합에 대한 예산항목이 없는 것은 문제"라면서 "개발사업의 경우 개발하는 시스템의 기능에 따라 기능점수 기준 단가로 예산을 잡을 뿐 품질관리, 사업관리 등 비기능적 요소에 대한 비용은 못 받고, 인프라 구축사업 역시 장비·솔루션 예산만 있을 뿐 통합비용이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공공기관이 IT서비스 기업에 모든 책임을 맡기는 구조이면서 그 역할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지 않다 보니 이익구조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박 회장은 "SI기업이 필요없는 게 아니라면 가치를 인정해줘야 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SI기업이 손해를 줄이기 위해 솔루션 값을 낮추는 등 악순환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직원 인건비에 비해 인상폭이 낮은 기능점수 단가 현실화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공공 IT 시장의 최대 화두는 '대기업의 귀환'이다. 수백억~수천억원 규모 차세대 시스템 구축사업이 잇따라 대기업 참여제한 예외 적용을 받아 발주되고 있다. 삼성SDS·LG CNS 등 대기업들이 '대외사업 확대' 기치를 내걸고 경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면서 시장구도가 급변하고 있다.

중견기업들은 설 자리가 좁아졌다. 특히 사업자 선정 시 컨소시엄 내 중소기업 지분이 50% 이상 돼야 상생협력 가점 만점(5점)을 주는 조달청 평가규정이 결정적이다. 근소한 차이로 당락이 갈리는 만큼 대기업들은 중소기업과 컨소시엄 구성이 필수이고, 중견기업과는 손잡는 게 불가능하다.

박 회장은 "협회 내에도 대·중견·중소기업이 다 있다 보니 이 이슈는 매우 민감하고 풀기 힘든 숙제"라면서 "그렇지만 상생의 문제는 정부가 해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결국 기업이 그림을 만들어야 하는 만큼 협회 차원에서 안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기업은 과거와 같은 SI 역할보다는 플랫폼과 솔루션 공급, 대형 프로젝트 관리에 집중하고, 이러한 상생 모델을 가지고 해외시장에서 승부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협회는 업계의 핵심 과제에 대해 개선방안을 만들기 위해 IT서비스학회와 연구에 착수했다. 체계적인 전문가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안과 이를 뒷받침하는 논리적 근거를 올해 중 만들 예정이다.

박 회장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타이밍이 좋지 않지만 연구결과를 들고 행안부, 기재부, 조달청 등 관련된 모든 부처와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IT가 국가와 사회 운영의 핵심 역할을 하는 반면 정부의 예산 규모가 절대적으로 적다는 것도 국내 IT산업이 크지 못하는 결정적 원인이다. 국가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IT 비중도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다.

박 회장은 "정부 차원에서 IT에 대한 투자 의지가 약하고 관련 부처에 힘도 실리지 않는 게 문제"라면서 "전자정부를 대통령 어젠다로 만들고, 부처를 아우르는 범정부 프로젝트를 기획해 범정부 차원 예산을 확보하는 체계가 아쉽다"고 밝혔다.  

공정성에 치우친 나머지 전문성을 희생한 공공사업 평가방식도 개선점으로 꼽힌다. 조달청 사업자 평가 과정에서 사업 수요기관의 의견 반영이 배제되다 보니 전문가들이 수개월간 공들인 제안서를 사업을 잘 모르는 비전문가들이 반나절 만에 평가해 사업자를 정하는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다 보면 자칫 터무니 없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박 회장은 "사업자 평가 시 발주기관 측은 사업을 소개하는 기조발언을 하는 게 끝이고, 내용을 잘 모르는 이들이 평가를 하다 보니 프레젠테이션 하는 사람의 능력에 좌지우지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발주자가 평가 조견표를 만들거나, 평가위원으로 참여하도록 해야지, 생각도 못한 사업자가 선정되면 그때부터 고통이 시작된다"고 지적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올해 아이티센그룹은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작년 콤텍정보통신·콤텍시스템 인수로 덩치도 키웠다.  

박 회장은 "선택과 집중을 한 게 주효했다"면서 "그룹 내 공공부문에 주력하는 IT서비스 기업은 아이티센과 콤텍정보통신인데, 작년에 해낸 양질의 수주가 올해 매출로 반영된 결과"라고 밝혔다. 특히 부실을 대거 줄인 게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박 회장은 "SI는 잘 하다가도 한번 방심하면 죽는 산업이다. 9개 사업을 잘 하다가도 하나에서 문제가 터지면 기업이 망할 수 있다"면서 "사업의 본질을 알고 수익이 안 나는 사업은 철저하게 못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업을 하기도 전에 수익성을 어떻게 판단하느냐고 묻는데, 불명확한 부분은 다 리스크로 보고 비용에 반영해야 한다"면서 "가장 경계할 것은 수주에 급급해서 프로젝트 매니저와 전문가의 목소리를 못 듣는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최근 그룹사 ICT 부문 정비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각사의 사업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시너지를 만드는 방안을 연말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현재 IT서비스와 인프라를 양축으로 운영 중인 사업을 내년에 보다 실질적 시너지를 내는 조직으로 바꾸는 게 골자다.  

박 회장은 "전체 조직이 단단하게 시너지를 내는 구조를 만들고, 3년 후 1조원 규모로 안정적으로 키우는 게 숙제"라고 밝혔다.  

최근 IT시장의 화두인 클라우드 전략도 만들고 있다. 클라우드 확산은 전통 SI 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앞서 변화를 시작한 대기업 IT회사에 비해 중견기업들은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박 회장은 "고객이 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되 차별점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둘 것"이라면서 "아이티센은 공공, 콤텍은 금융, 굿센은 SaaS(SW서비스)에 집중하면서, 그룹사 역량을 모은 '센 클라우드 스윗'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타닉스·레드햇 등 총판계약을 맺은 외산 솔루션을 활용하는 한편 공공시장을 겨냥해 KT,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등과도 협력할 계획이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960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사업 컨설턴트(기관, 기업 등) 추천 건 itsa 2020-02-04
959 2020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설명회 발표자료 배포 itsa 2020-02-03
958 ITSA, ‘2020년도 IT서비스 시장 및 기술전망 세미나’ 개최 itsa 2020-01-08
957 2020년 IT서비스산업 시장 및 기술 전망 세미나(1.7, 전경련회관) 개최 itsa 2020-01-02
956 [올해의 인물]박진국 아이티센 부회장 itsa 2019-12-26
955 SW업계 "SW진흥법, 골든타임...연내 통과 불발땐 3년 이상 산업 퇴보" itsa 2019-12-13
954 (한국서비스산업총연합회 창립7주년 기념식)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부총리 표창 수상(12.11) itsa 2019-12-11
953 「IT/SW서비스 해외진출 협의체」수출역량강화 교육 개최 - IT서비스 분야 해외 공공조달 및 국제입찰(12.13) itsa 2019-12-09
952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10주년 기념행사 안내(12/3 화,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itsa 2019-11-26
951 제14회 공공솔루션마켓 개최(11.22 / 신도림 쉐라톤디큐브시티호텔) itsa 2019-11-19
950 2019년 기능점수(FP) 전문가 양성교육 안내(12.11~12.13) itsa 2019-11-18
949 2019년 기능점수(FP) 전문가 양성교육 안내(11.13~11.15) itsa 2019-11-04
948 - [데스크가 간다] "정부부터 제값 줘야 大·중견기업 윈윈… IT 新생태계 필요" itsa 2019-10-30
947 불편한 정부 정책, 후퇴한 IT서비스 itsa 2019-10-23
946 2018년도 IT서비스기업 편람 발간(최종) itsa 2019-10-14
< 16 17 18 19 20 >